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
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과 연계성을 유지하면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천안시 특성을 고려한
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정책을 포괄하는 「천안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(이하, 기본계획)」의 수립이 필요함.
시간적 범위
- 기준년도 : 2018년
-
목표년도
- : 2030년(「탄소중립기본법」 목표년도)
- : 2034년(1차 기본계획기간 종료년도)
- : 2045년(탄소중립 목표년도)
- 계획기간 : 2025 ~ 2034년(10년)
감축목표
충청남도 천안시 행정구역 전역
핵심과제
- 「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·녹색성장 기본법」 제11조제2항 명시 항목
- -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·흡수 현황 및 전망
- - 지역별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부문별·연도별 이행대책
- - 지역별 기후변화의 감시·예측·영향·취약성평가 및 재난방지 등 적응대책에 관한 사항
- - 기후위기가 공유재산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
- - 기후위기 대응과 관련된 국내외 협력방안(지역간 또는 국제협력)
- - 탄소중립 사회로의 이행과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교육·홍보에 관한 사항
- - 녹색기술·녹색산업 육성 등 녹색성장 촉진에 관한 사항
- - 지속가능한 이행관리 및 환류체계 구축
천안시 온실가스 배출현황
- 천안시 온실가스 지역배출량은 6,408.20천톤CO2 eq
- 2020년 지역배출량은 2019년 지역배출량 6,876.96천톤CO2eq 대비 6.8% 감소하였고, 2016년 대비 6.8% 감소, 최근 5년(2016~2020)간 연평균 1.8% 감소함
천안시 직접배출량
-
2020년 기준 천안시의 직접배출량(LULUCF 제외)은 3,102.76천톤CO2eq로 2019년 배출량 3,248.47천톤CO2eq 대비 4.5% 감소하였으며, 최근 5년(2016~2020)간 연평균 0.4%씩
감소하였음
천안시 간접배출량
- 2018년에 정점(4,063.08천톤CO2eq)을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감소하여 2020년에는 최근 5년 중 가장 적은 3,471.81천톤CO2eq를 배출함
천안시 온실가스 배출유형
- 천안시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건물 부문과 수송 부문의 배출량이 지역배출량의 48.7%로 큰 비중을 차지하며, 기초지자체 온실가스 배출유형 분류에 따라 도시 집중형 배출 특성을 가짐.
<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>
-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온실가스 지역배출량에 통계청 인구 추이를 통한 총 인구수로 나누어 구할 수 있음.
-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9.5톤CO2eq/명(2020년 기준)으로, 전년 대비 6.9% 감소, 2016년 대비 12.0% 감소함
구분 | 2016 | 2017 | 2018 | 2019 | 2020 | 증감률 ('16년 대비) |
증감률 ('19년 대비)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인구수(명) | 635,783 | 650,402 | 666,153 | 672,556 | 676,996 | 6.5% | 0.7% |
1인당 배출량(톤CO2eq/명) | 10.8 | 10.7 | 10.6 | 10.2 | 9.5 | -12.0% | -6.9% |
<세대당 온실가스 배출량>
- 세대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온실가스 지역배출량에 전체 세대수로 나누어 구할 수 있음.
- 천안시 세대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22.0톤CO2eq/세대(2020년 기준)로, 전년 대비 9.8% 감소, 2016년 대비 18.5% 감소함
구분 | 2016 | 2017 | 2018 | 2019 | 2020 | 증감률 ('16년 대비) |
증감률 ('19년 대비)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세대수(세대) | 254,676 | 263,434 | 273,851 | 281,333 | 291,425 | 14.4% | 3.6% |
세대당 배출량(톤CO2eq/세대) | 27.0 | 26.4 | 25.7 | 24.4 | 22.0 | -18.5% | -9.8% |
<GRDP당 온실가스 배출량>
- GRDP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온실가스 지역배출량에 천안시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활용하여 총배출량을 GRDP로 나누어 값을 구할 수 있음.
- 천안시 GRDP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26.5톤CO2eq/억원(2020년 기준)으로 전년 대비 0.9% 증가, 2016년 대비 13.8% 감소함
구분 | 2016 | 2017 | 2018 | 2019 | 2020 | 증감률 ('16년 대비) |
증감률 ('19년 대비)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GRDP(억 원) | 223,485 | 237,051 | 260,089 | 261,652 | 241,528 | 8.1% | -7.7% |
GRDP당 배출량(톤CO2eq/억 원) | 30.8 | 29.4 | 27.1 | 26.3 | 26.5 | -13.8% | 0.9% |
<자동차 주행거리(km)당 온실가스 배출량>
- 자동차 주행거리(km)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온실가스 지역배출량에 수송(도로) 부문 배출량을 연간 자동차 주행거리(천km)로 나누어 구할 수 있음.
- 자동차 주행거리(천km)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1.5톤CO2eq/천km(2020년 기준)로 전년 대비 9.0% 감소, 2016년 대비 16.7% 감소함
구분 | 2016 | 2017 | 2018 | 2019 | 2020 | 증감률 ('16년 대비) |
증감률 ('19년 대비)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연간 자동차 주행거리(천km) | 3,927,000 | 4,063,733 | 4,219,967 | 4,264,173 | 4,365,043 | 11.2% | 2.4% |
주행거리당 배출량(톤CO2eq/천km) | 1.8 | 1.7 | 1.7 | 1.6 | 1.5 | -16.7% | -6.3% |
